본문 바로가기
역사

장애인

by Wa_rranty 2017. 1. 15.
반응형

현대의 우리들은 일상 속에서 많은 장애인, 장애우 들을 접하고, 그들이 받는 차별대우에 대해 듣고 있다. 그렇다면 오래전 장애인, 장애우에 대한 대우는 어떠했을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고대 서양의 경우를 보면 살펴보겠다.




고대 철학자들의 어록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아들을 양육하지 못하도록 법을 제정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

     

"장애아를 사회에서 격리시켜야 한다."

-플라톤

       

우리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만큼 유명한 고대 서양의 철학자들이 생각했던 장애인에 대한 언급들은 놀랍게도 장애인을 아주 심각할 정도로 인간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고대 서양의 인식은 중세로까지 계속 이어졌고, 중세 서양에서는 장애인을 신의 벌을 받은 악한 존재로 여기기까지 하였다. 그래서 이들에 대한 고문과 사형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렇듯 장애인을 철저히 배척했던 과거의 서양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과거 우리나라, 그중에서 조선시대에서는 장애인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했을지 알아보겠다. 그들도 과거의 서양처럼 장애인을 배척했을지 모른다.


  

하지만 우리의 조선시대 때는 장애인에 대한 대우가 과거의 서양과는 사뭇 달랐다.

"장애인들에게 환곡을 우선적으로 베풀고, 거처할 집을 잃게 해서는 아니 된다." -<세종실록>


   

한 나라의 임금이 직접 장애인들의 생계를 걱정할 정도로 조선에는 장애인을 위한 국가적 정책이 상당히 다양했다.

   

그중에도 국가 주도로 설립된 시각장애인 고용기관 '명통시'는 체계적으로 운영됐던 곳이었다. 이곳에 고용된 이들은 나라의 제사에서 경을 읽거나 기우제를 드리는 등 관리로서 그 지위를 인정받았다고 한다.


 

이외에도 조선은 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전문직을 만들어 그들의 자립을 도왔다. 또한 그들의 능력을 인정했다.

  

점을 치는 점술가, 귀신을 쫓는 독경사, 궁중 연회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관현맹인 등 이들 대부분이 장애인이었다.


"동서 활인원이 맡아 장애인을 후하게 구휼하며 분기마다 결과를 상세히 보고 하라." - <세조실록>


이뿐만이 아니라 나라의 기근이 들면 그들을 가장 먼저 구휼하고, 몸이 아픈 장애인에게는 보조 도우미까지 두며 그들의 안정적인 삶을 도모 하도록 했다. 이렇게 국가가 선뜻 장애인들의 생활의 안정을 위해 노력하였고, 장애인 부양가족에게 병역을 면제하면서, 장애인이 살해된 마을은 그 등급을 강등하였고, 장애인 학대에 대해서 엄벌로 다스리는 등 백성들 간의 장애인 차별방지에 부단히 힘썼다. 

   

이렇듯 조선은 장애인의 겉모습과 신분보다는 그들의 능력을 우선시하는 나라였던 것이다. 이러한 조선의 차별 없는 장애인 대우 정책은 다양한 인재를 만들어냈는데,


  

중증 척추 장애인이었으나, 조선 건국의 일등 공신이자 명망 높았던 재상 ‘허조’


   

다리가 하나뿐이라 왕 앞에 바로 서지 못하는 것을 불충으로 여겨 사직을 청했지만 거절 당했던 외다리 충신 '윤지완'


   

귀가 들리지 않았지만 그 능력을 인정 받아 외교특사로 임명됐던 청각장애인 '이덕수'


그 외 에도 역사를 빛냈던 조선의 수많은 장애인들이 있었다. 그들은 조선의 장애인 대우 정책이 길러냈던 훌륭한 인재들이었던 것이다. 


그 어떤 시대의 나라보다도 장애인을 배려하고, 차별하지 않았던 조선이라는 나라다. 조선에서 장애인은 그저 '병' 때문에 남들보다 배려가 조금 더 필요한 사람일 뿐이었다. 그들을 ‘버려야 하는 존재’로 인식하지 않았던 것이다.


"세상에 버릴 사람은 하나도 없습니다."

-박연(1418~1450)

 

그런데 수백 년이 지난 지금, 우리들은 장애인을 무시하고, 차별하며, 학대하는 소식을 너무나 쉽게 접하는 세상 속에 살고 있다. 그리고 어쩌면 당신도, 그런 이들 중 한 사람일 수 있다.


비록 장애인에 대한 ‘지식’은 지금보다 부족했을 지라도, 장애인을 ‘이해’하는 것만큼은 지금 우리보다도 부족할 것 없었던 조선. 과거에 비해 많은 것들이 발전한 지금의 우리가, 오히려 과거 우리나라의 사람들보다 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보이는 이유는 왜인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출처 : 피키캐스트

반응형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열  (0) 2017.01.18
도모지  (0) 2017.01.16
이선  (0) 2017.01.14
사도세자  (0) 2017.01.13
사도  (0) 2017.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