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애

연애

by Wa_rranty 2017. 1. 22.
반응형



자신과 성향이 비슷한 사람과 반대인 사람중 누구에게 더 끌리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대체 어느 게 맞냐고 하면 어떤 사람들은 자신과 반대되는 성향을 가진 사람에게 끌린다고 합니다.

반면 또 다른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에게 끌린다고 합니다.

그럼 대체 어떤 말이 맞는 걸까요?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딱 정해드리겠습니다.

얼핏 보면 양쪽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 같지만, 사실 자신과 비슷한 사람에게 끌린다는 연구 결과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심지어 몬머스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게리 르완도브스키 교수는 "누군가에게 매력을 느끼게 하는 가장 큰 요소는 바로 공통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공통점이 많을수록 상대방에게 더 큰 매력을 느낄 뿐 아니라 연애할 때도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면 처음 사랑에 빠질 때는 삶의 태도나 생활방식이 비슷한 게 중요하지만, 관계가 진전될수록 두 사람의 성격이 비슷해야 안정적인 연애를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성격이 비슷한 부부일수록 더 만족스럽고 행복한 결혼 생활을 유지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심지어 연대 만족도가 높은 커플일수록 서로가 매우 비슷하다고 생각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이쯤 뙤면 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텐데 현재 연인이 자신과 반대의 성향을 가진 사람이거나, 그런 사람을 짝사랑하고 있을 수도 있을겁니다.

그렇다면 아래 질문들에 한번 대답해보시기 바랍니다.

두 분의 나이는 얼마나 차이가 납니까?

학력은 비슷한 편인가요?

대화는 잘 통합니까?

사는 곳은 서로 어디인가요?


얼핏 보면 당신과 상대방의 차이가 도드라져 보일 수 있지만, 하나씩 비교해 보면 차이점보다는 비슷한 점이 훨씬 많다는 걸 알게 될겁니다.

사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나와 완전히 반대되는 사람과 연애하는 건 아주 힘듭니다.

예컨데 독실한 기독교 신자면서 스포츠를 좋아하고 집에 좀처럼 붙어있지 않는 사람이, 철저한 무신론자에 내향적이며 스포츠를 즐기지 않는 사람과 오랫동안 행복한 연애를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면 됩니다.

아마 쉽지 않을 겁니다.

물론 모든 사람이 자신과 똑같은 사람만 좋아한다는 건 아닙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연인이 나와 보완되는 성격을 가졌을 때 연애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고 합니다.

단, 여기서 주의할 점은 보완된다는 게 반대를 의미하는 건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보다는 서로의 성격이 톱니바퀴처럼 잘 맞물려 있는 것에 가깝습니다.


지금 연애 중이라면 서로의 비슷한 점을 한번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생각보다 꽤 많다는 걸 알게 될 겁니다.

만댝 지금 괜찮은 연애 상대를 찾고 있다면 당신과 비슷한 성격의 사람을 눈여겨보시 바랍니다.

좋은 연애 상대를 찾는 방법임에는 틀림이 없기 때문입니다.


모두 즐겁고 행복한 연애하시기 다가 결혼도 하시기 바랍니다.

1월 19일 제 생일에 결혼한 비와 김태희 부부 처럼요.


※ 출처 : 피키캐스트



반응형

'연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BC 뉴스룸' 안나경 아나운서, 변호사와 결혼, 10년 열애 결실  (0) 2023.11.16
밀당  (0) 2017.01.29
페네틸아민  (0) 2017.01.28
권태기  (1) 2017.01.24
연애  (0) 2017.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