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양환경기사

염분

by Wa_rranty 2016. 12. 31.
반응형

염분(Salinity)




1. 해수의 용존물질의 원인을 살표보겠다.

. 먼저 대륙 지각의 풍화가 있다.

. 그리고 화학적 침식작용이 있다.

. 세번째로 대양저 해령의 열수괴 분출의 부산물이 있다.

 

2. 염분은 단위를 1,000분률()로 표시하고, 1Kg의 해수를 480에서 건조한 량(무게)이다.

위의 방법은 번거로우므로 염소이온 농도(Chlorinity)를 질산은으로 적정하여 계산한다.

 

S() = 1.80665 × Cl() ‘05

 

 

3. 기타 염분 측정방법 ; 해수의 온도, 밀도, 음향속도 또는 전기 전도도로 측정한다. (Conductivity, Specific Conductance)


4. 염분의 변화와 해수 성질의 변화를 살표본다.

;염분의 증가 밀도 증가 결빙온도와 최대밀도 온도 하강한다.

 

연안은 하강하고 원양(외해)은 상승한다.

페르시아만 40이상 상승한다.

적도와 고위도 하강한다.

북반구는 하강하고 남반구는 상승한다.

태평양은 하강하고 대서양은 상승하며 지중해는 많이 상승한다.

지구해표면 위도 20도 부근(아열대)은 많이 상승한다.


이유는 담수가 흘러오니까 그렇게 되는 것이다.


수심이 얕고 증발이 많다.

강수량, 빙하의 녹는다.

북반구는 육지가 많고 담수 유입이 많다.

증발량이 많다.

강수량보다 증발량이 많다.

5. 염분은 지리적으로 차이가 있다.

 

‘06 ex)다음 중 염분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이용될 수 없는 것은 무엇일까?

. 해수의 혼탁도 

. 수중 음향속도 

. 전기전도도 

. 염소량


해양의 표면염분 분포에 가장 큰 영향; 증발과 강수량의 차이이다.

해수의 증발로 염분이 증가하면 해양화합물은 염화칼슘부터 침전한다. 이후 석회암으로 발전한다.

 

염분측정기 (Salinometer)를 이용하여 해수 시료의 염분을 측정하려고 한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

. 먼저 시료의 온도를 실온으로 맞춘다.

. 표준해수를 셀속에 일차 주입시켜 셀을 세척한 다음 다시 주입시키고 온도와 염분을 측정해서 염분계를 보정한다.

. 시료를 셀속에 주입시켜 셀을 세척한 다음 세척액은 버리고 다시 시료를 주입시켜 염분을 측정한다.

. 표준해수는 시료수에 관계없이 측정초기에 한번 사용하여 염분계를 보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겨울철 강물이나 호수의 물은 표면에서부터 얼기 시작한다. 이에 반하여 염분이 24.7이상인 해수는 겨울에 추워도 잘 얼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 소금물은 육수에 비하여 빙점이 낮기 때문이다.

. 바다의 수심이 강이나 호수보다 깊기 때문이다.

. 해수의 밀도 극대 온도가 빙점보다 낮으므로, 모든 물이 빙점에 달할 때 까지 결빙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 겨울철 바닷물은 수온이 강물의 수온보다 높기 때문이다.

 

반응형

'해양환경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리올리  (0) 2017.01.03
빛의 굴절, T-S 도표  (1) 2017.01.02
수중음파  (0) 2017.01.01
밀도  (0) 2017.01.01
수온  (0) 2016.12.30